목차
안보정세 전망
Ⅰ. 글로벌 안보정세 전망(조남훈, 이장욱, 조은일)
1. 격화되는 강대국 등장
2. 전세계적인 경제 둔화와 우크라이나 재건 협력
3. 세계 핵비확산에 대한 도전
4. 신기술을 둘러싼 경쟁 심화
Ⅱ. 동북아 안보정세 전망
1. 북한(박용한)
2. 미국(이수훈)
3. 중국(전재우)
4. 일본(조은일)
5. 러시아(두진호)
국방여건 및 발전방향 전망
Ⅰ. 병역자원 및 국방예산
1. 병역자원 공급 제한(정철우)
2. 국방예산 획득환경 및 편성 전망(김경곤)
3. 방위력개선 사업비 운영 방향(김병주)
Ⅱ.미래전 개념과 전력구조
1. 미래 전쟁을 대비한 합동작전개념 발전 방향(김진형)
2. 전략적 억제 및 대응 능력의 획기적 강화(박지훈)
3. AI 및 무인체계에 기반한 국방전력구조 변화 전망(정제령)
4. 첨단과학기술 기반의 국방혁신 4.0 추진(유기현)
5. 국방혁신 4.0적용을 위한 전력증강 프로세스 발전 방향(남기헌)
Ⅲ. 병영문화와 국방자원운영
1. 수요계층 요구의 다양성을 고려한 군 복지 개선 방향(김영곤)
2. 병영문화 발전 방향(지평기)
3. 국방과학기술인력 관리체계 발전 방향(이현지)
4. 사회변화에 부합하는 군사시설 발전 방향(강소영)
참고문헌 / 8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