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 HOME
  • KIDA 연구물
  • 동북아안보정세분석(NASA)

동북아안보정세분석(NASA)

2022년 상반기 일본 전략동향 평가 상세보기 화면
제목 2022년 상반기 일본 전략동향 평가
저자 장혜진
발행일자 2022.07.19
국가 일본
주제 국제전략
발행년도 2022
문서보기
국문 키워드 국제질서 재편,탈냉전의 종언,신시대 리얼리즘,방위비,GDP 대비 2%
공유하기


2021년 10월 1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내각이 발족한 이후 약 9개월이 지났다. 기시다 내각 발족 이후 글로벌 안보환경은 2022년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크게 악화되었으며, 이는 기시다 내각의 외교·안보 정책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시다 총리가 속한 ‘고치카이’(宏池會)는 안보보다는 경제를 우선시하며, 상대적으로 아시아를 중시하는 정책 성향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지만 ‘힘에 의한 현상변경의 현재화(顯在化)’는 안보 정책과 미일동맹의 우선순위를 크게 끌어올리고 있다. 이와 같은 방향성은 미·중 간의 전방위적 전략경쟁에 더해 러시아의 행동으로 인해 불확실성이 더욱 심화되는 안보환경에 따라 높아지는 ‘경제안보’의 중요성으로 인해 더욱 힘을 얻고 있다. 이에 더해 국내정치적으로도 기시다 내각이 자민당 내 강경보수파의 지지하에 유지되고 있으며, 현재의 외교·안보정책에 대한 대중의 지지가 상대적으로 높다는 점도 보수강경파와의 정책협조를 중시할 수밖에 없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기시다 내각 취임 이후의 정책 추진 동향 등에 비추어 2022년 상반기 일본의 전략동향을 간략히 평가하도록 한다.


 


* 바로보기를 선택하면 원문을 열람할 수 있습니다.


저자 소개

저자 사진
장혜진 (Jang, Hye-jin/張惠眞)
  • 부서 : 안보전략연구센터(국제전략연구실)
  • 직급 : 선임연구원 (기획운영관)
  • 전문분야 : 일본 외교/안보
  • 연락처 : 02-961-1153
"공공누리 제2유형 :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2유형 :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