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 HOME
  • KIDA 연구물
  • 동북아안보정세분석(NASA)

동북아안보정세분석(NASA)

2023년 러시아의 안보정세 전망 상세보기 화면
제목 2023년 러시아의 안보정세 전망
저자 두진호
발행일자 2023.01.03
국가 러시아
주제 국제전략
발행년도 2022
문서보기
국문 키워드 러시아,안보정세 전망,2023년
공유하기

러시아의 무력 침공으로 시작된 우크라이나 사태가 해를 넘겼다. 국제사회는 경제제재 및 무기 지원, 전략적 연대 등 미국 중심의 통합억제력을 결집하여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응하고 있다. 러시아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약 80년 만의 부분 동원 선포를 통해 사실상 국가 기능을 전시 체제로 전환했으며, 전쟁의 장기화에 대비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총참모부의 발표에 따르면, 2023년 1월 3일 기준 러시아군은 10만 8천 명에 육박하는 사상자가 발생했으며, 3천여 대의 전차와 280기가 넘는 전투기가 파괴되는 등 현재까지의 손실은 전체 군사력의 20% 이상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 부분 동원 선포로 인해 30만 명이 넘는 노동 인구가 예비 전력에 편입됐으며, 동원 회피를 목적으로 주변국 등 해외로 출국한 30만 명 이상의 국민을 고려할 때 중·장기적으로 러시아의 국가 경쟁력 약화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전쟁의 장기화에 따른 국제사회의 피로감 누적과 경기침체 등의 여파로 평화협상 필요성이 부상하고 있다. 하지만 우크라이나는 러시아 본토에 대한 종심 공격을 활성화하고 있으며, 우크라이나 국민의 대다수는 러시아와의 평화협상에 부정적이다. 본고는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한 평가 및 전망을 중심으로 2023년도 러시아의 안보정세를 전망하고자 한다.


 


* 바로보기를 선택하면 원문을 열람할 수 있습니다.


 


저자 소개

저자 사진
두진호 (Doo Jinho/杜眞浩)
  • 부서 : 안보전략연구센터(국제전략연구실)
  • 직급 : 연구위원
  • 전문분야 : 비전통 안보위협, 한러 관계, 유라시아 통합
  • 연락처 : 02-961-1775
"공공누리 제2유형 :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2유형 :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