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 HOME
  • KIDA 연구물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국방과학기술 소유권의 민간이전 방안 검토 상세보기 화면
제목 국방과학기술 소유권의 민간이전 방안 검토
저자 양영철,최공영,황인빈
연구센터 국방자원
발행년도 2022
문서보기
공유하기 링크복사

과학기술 연구의 결과물을 누가 소유하게 하느냐에 대한 원칙을 정립하는 것은 과 학기술의 발전을 촉진하게 하는 중요한 정책적 수단이다. 민간부문의 경우 연구산물 의 연구자 소유원칙을 법률에 명문화함으로써 소유권자의 권리를 보장하면서, 연구 결과의 가치를 확산하기 위한 다양한 유형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국방부문에서는 최근까지 국가소유 원칙이었다가 연구자와 지식재산권을 공동소유하는 단계까지 진 전되었으나, 민간부문과 같이 연구자 소유원칙으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 아지고 있다. 방위사업청은 이러한 배경 아래 국방과학기술의 소유권 민간이전 문제 를 풀기 위한 연구를 KIDA에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방과학기술의 소유권에 대한 논의를 개발성과의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의 관점에서 발전시켰다. 이를 위해 제Ⅱ장 현황 분석에서 기술소유권을 정의하는 법률 체계와 정보의 축적 및 관리 현황, 관련 용어에 대한 법률적, 개념적 정의를 간략히 정리하였다. 정부 예산이 투입되는 연구개발성과에 대한 기술소유권의 귀속과 그 절차에 관해 서는 국가연구개발혁신법이 모든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적용된다. 다만, 국가연구 개발혁신법 제3조에 근거한 특정한 사업 유형의 경우는 국가연구개발혁신법이 규 정한 내용 중에서 일부를 적용하지 않거나 다른 법률을 적용토록 하고 있다. 대표적 으로 국방과학기술혁신촉진법에 따라 추진되는 국방사업이 여기에 해당한다. 법률에 근거한 기술소유권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를 파악하기에 현재의 국방과학기 술 정보시스템에서 미흡한 점이 존재한다. 국방기술정보통합서비스(이하 ‘DTiMS’) 는 국방기술기획, 연구개발, 개발성과, 무기체계 구매관리, 무기체계 구매도입성과, 군수품 관리, 기술현황, 국방기술인력 등 총 113종의 기술정보를 제공하고 있지만, 이 중에서 국방과학기술 소유권의 대상으로 명확히 구분되는 기술에 대한 현황정보 를 파악하기는 힘든 상황이다. 소유권의 대상에 대해 법률별로 각자의 용어를 채택하고 있으나, 의미상 동일한 개 념을 담은 용어인 것으로 판단된다. 과기부, 국방부/방사청, 산자부 각자의 소관 법률 에서 채택한 용어들이 ‘개발의 과정,결과로 나온 유무형의 산물’로 정의되는 점을 볼 때, 사실상 동일한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저자 소개

저자 사진
양영철 (Yang Youngchul/梁榮哲)
  • 부서 : 국방자원연구센터(획득방산연구실)
  • 직급 : 연구위원
  • 전문분야 : 국방 획득정책, 방위산업 정책
저자 사진
최공영 (Choi Gong-yeong/崔恭永)
  • 부서 : 국방자원연구센터(획득방산연구실)
  • 직급 : 선임연구원
  • 전문분야 : 방위산업 기반/정책 조사
저자 사진
황인빈 (Hwang Inbin/黃인빈)
  • 부서 : 국방자원연구센터(획득방산연구실)
  • 직급 : 선임연구원
  • 전문분야 : 국방획득정책, 방위산업 정책
일반게시판 화면 화면
다음자료 ▲ 국방예산 분석.평가 및 전망 (2022)
이전자료 ▼ 대아세안 국방협력 접근 강화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