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박영길,김인국,이동윤,지평기,박찬빈,이정은,박지연,곽지희,이선미,강민수,김용훈,신학경,안현준,유현이,최민정,김시윤
|
“장병행동심리분석 운영지원”은 “초급간부 선발도구 연구”, “인성검사 및 병영생활적응연구”, “사기측정 연구”에서 지속 수행하던 운영지원과 관련된 기능을 각각 분리해 2019년부터 별도의 과제로 통합 수행해왔다. “운영지원” 관련 기능의 통합적 운영 및 관리는 수행 기반의 안정화와 함께 “장병행동심리분석 연구사업”에서 각 연구영역의 차별적 특성이 명확화되고 고유 연구영역의 확보가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는 각각의 연구 목적에 맞는 운영지원과 관련한 내용을 독립된 장으로 구성하고 있다. 초급간부 선발도구 운영지원에서는 2023년 각 군 사관학교를 제외한 장교와 부사관 초급간부 선발과정의 “KIDA 초급간부 선발도구” 시행을 지원하였다. 선발도구의 시행지원은 주로 “검사지 구성”과 “시행결과 처리”로 구성되며, 육군 학군사관후보생 선발 면접관을 대상으로 본 도구에 대한 교육 등의 활동도 지원한다. 2023년에는 전군 70개의 선발과정에서 총 19,377명의 시행을 지원하였다. 또한, 군 선발과정의 시행방식 변화 모색에 대한 활동도 수행하였다.
신인성검사 운영지원에서는 2023년 전 장병이 신인성검사를 안정적으로 시행하고 그 결과를 활용할 수 있도록 제반 및 지원 관련 활동을 수행하였다. 자대 복무단계를 기준으로 병사는 “복무적응도검사 2.0”을 시행하고, 간부는 2022년 11월부터 “군 적응?심리건강 통합검사(COMPASS)”를 시행한다. 또한, 간부 검사 대상자로 군무원이 추가되었다. 2023년 자대 기준으로 병사는 347,034명, 간부는 179,322명, 군무원은 34,158명의 시행을 지원하였다. 추가로 간부 모바일 인성검사 도입, 병무청 입영판정검사 전환 등과 관련한 추진 및 지원 활동도 수행하였다.
사기측정 운영지원에서는 2023년 전군 총 1,492개의 대대급 대상부대 213,145명이 정기측정을 시행하고 그 결과를 활용하는 데 지원하는 활동을 수행하였다. 사기측정 결과에는 각 요소의 평균점수와 부대유형에 따른 집단 내 상대적 위치(%tile)를 사단급 부대 특성을 기준으로 제공하는데, 이를 대대급 부대의 특성을 반영한 분류로 개선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향후 유관부서 의견수렴 등을 거쳐 체계에 반영하는 후속 조치를 진행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