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센터
- HOME
- 연구센터
- 군사발전연구센터
- 군사력평가연구실
군사력평가연구실
국방모의연구실은 다양한 모델링과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국방영역의 다양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국방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DM&S: Defense Modeling & Simulation) 분야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모델링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제 전쟁을 하지 않고도 전쟁 시 무기체계의 효과도, 적과 아군의 피해율, 필요한 무기체계의 적정량 등을 분석할 수 있다. 국방부 차원에서의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비전 제시와 능력 발전을 위한 정책과 제도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효율적인 전력분석/전투실험/군사연습 및 훈련을 진행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이론과 방법을 개발하며, 시뮬레이션 모델의 개발·도입·실용화를 통해 우리 군의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능력 신장 및 활용성 제고를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국방모의 분야의 세부적인 연구분야
- 국방M&S 정책 및 제도 연구
- M&S 기반 분석/평가 수행 및 능력 발전
- M&S 기반 분석/평가 기술/자료 연구 및 국내외 협력체계 구축/운영
- 군사력/전력 평가, 전역분석, 합동전투실험, 부대연습 발전 연구 등
- 능력기반평가 및 전력기획/발전방안 연구 등
국방모의연구실은 산업공학, 컴퓨터공학, 수리과학, 응용수학 등 다양한 학문의 분석기법을 활용함으로써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정책 대안 개발에 힘쓰고 있다.
2019년도 주요 연구과제
- 국방환경 변화를 고려한 국방M&S 종합발전방안 연구
- 국방M&S체계 시험평가 발전방안 연구
- 전시 ○○○ 개선방안
- 워게임 운영사업(2019)
- 한국군 피해평가 능력 발전방안 연구
- ○○○ 평가체계 및 발전방향
- 한국군 주도의 ○○○ 발전을 위한 모의분석 개선방안 연구
2020년도 주요 연구과제
- ○○○ 사용 가능성 평가체계
- 병 교육훈련을 위한 게임체계 개발 사전연구
- ○○○의 전자전 운용 및 평가방안
- 한반도 ○○○에 관한 연구
- 한국형 합동무기추천체계 구축방향 연구
- 전시 ○○○ 표준화 업무 발전방향 연구
- 워게임 운영사업(2020)
- ○○○작전의 부수적 피해평가 방법 및 기준 연구
2020년도 학술행사
- 제22차 국방M&S 발전세미나
연구진 소개
성명 | 직급 | 전문 연구분야 | 연락처 |
---|---|---|---|
유승근 | 책임연구위원 | 미래전 M&S, 특수전 모의분석, 교전급 M&S 체계 개발/운용 | 02-961-1653 |
김정은 |
연구위원
(연구실장) |
소요분석평가 방법론, 통합소요분석 | 02-961-1317 |
서영보 | 연구위원 | 전역분석(전력평가, 작계분석), 한미 정보교환협정 | 02-961-1763 |
심광신 | 연구위원 | 전구급 모델 운용/분석, 작전계획 계량분석 | 02-961-1137 |
김종회 |
선임연구원
(연구담당관) |
감시정찰, 무인전투체계, 최적화 방법론 | 02-961-1332 |
김아름 | 선임연구원 | 전구급 모델 운용/분석 | 02-961-1348 |
이승우 | 선임연구원 | 무기추천체계 모의분석 및 운용 | 02-961-1628 |
차명환 | 선임연구원 | 전구급 모델 운용/분석 | 02-961-1335 |
박효린 | 선임연구원 | 에이전트 기반 시뮬레이션, 최적화 방법론 | 02-961-1312 |
이선희 | 선임연구원 | 전구급 모델 운용/분석 | 02-961-1152 |
김동진 | 선임연구원 | 전구급 모델 운용/분석 | 02-961-1629 |
서민혁 | 연구원 | - | 02-961-1172 |
이윤호 | 현역연구위원 | DM&S 정책, LVCG, CBRN모델 운용/분석, VV&A | 02-961-1879 |
손병원 | 현역연구위원 | 국방 M&S, 군사력 평가, 전력기획 | 02-961-1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