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경과 목적: 국방혁신 4.0 달성을 위한 데이터 활용 관련 역량의 체계적 확보 필요
ㅇ 4차 산업혁명 기술의 핵심인 데이터 활용의 중요성 증대
- AI, 빅데이터 기술은 국방을 지능화, 무인화, 자동화 환경으로 변화
- 이러한 변화는 전통적인 군사력 격차를 추격할 수 있는 미래전의 게임체인저 역할을 함
ㅇ 국방 데이터를 잘 활용하기 위한 국방 환경으로의 변화 필요
- 개별 정보체계에 대한 정형데이터 생산 및 관리 위주의 업무 수행
- 국방의 통합적 관점에서의 국방 데이터 분석 및 활용 활성화 필요
- 국방 데이터 활용 환경의 체계적 조성을 위한 중·장기 발전방안 마련 필요
□ 수행 결과: 국방 데이터에 대한 중·장기 정책 방향 및 추진과제 제시
ㅇ 국방 데이터에 대한 중·장기 정책 방향 제시
- 비전: 데이터 기반의 국방혁신과 디지털 강군 구현
- 목표 1: 과학적 의사결정 기반 마련을 위한 국방 데이터 생태계 조성
- 목표 2: 지속 가능한 전장 우위 확보 및 전력증강을 위한 국방 데이터 활용 확대
ㅇ 비전 및 목표 달성을 위한 추진전략과 추진과제 제시
- (추진전략 1) 활용성 높은 국방 데이터의 양적 확대를 위한 ‘고품질의 국방 데이터 축적 및 관리’
- (추진전략 2) 국방 데이터 분석/활용 지원을 위한 ‘고도화된 국방 데이터 분석 환경 조성’
- (추진전략 3) 국방의 제한사항 개선을 위한 ‘국방 데이터 활용성 강화를 위한 기반 마련’
- (추진전략 4) 국방 데이터의 안전한 활용 환경 구축을 위한 ‘국방 데이터 안전성 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