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 HOME
  • KIDA 연구물
  • KIDA 안보전략 FOCUS

KIDA 안보전략 FOCUS

시리아 정세 변화와 화학무기 문제 협력 필요성 상세보기 화면
제목 시리아 정세 변화와 화학무기 문제 협력 필요성
저자 진의림
발행일자 2025.02.19
국가 한국
주제 국방전략
문서보기
공유하기 링크복사

◎ 중동 정세 변화와 시리아 화학무기 문제의 중요성

   - 2024년 12월 8일, 시리아 반군 연합이 정부군을 상대로 승리하여 내전 종식을 선언, 국제사회는 이번 정세 변화를 시리아 내 화학무기를 완전히 폐기할 기회로 평가

   - 시리아 화학무기 문제 관련 ▲비확산 모범국으로서 국제사회와 함께 대량살상무기(WMD) 제거 노력에 동참 필요, ▲시리아 화학무기 문제해결 과정에서 북한의 WMD 개발 및 확산 증거 확보 가능성 측면에서 주목


◎ 시리아의 화학무기 사용 문제 경과

   - 아사드 정권은 2011년 내전 발발 이후 반군과 민간인 대상으로 화학무기를 지속 사용

   - 국제사회의 노력으로 2013년 화학무기금지협약(CWC)에 가입하여 화학무기를 폐기하였으나 이후에도 화학무기 사용 정황 지속 포착


◎ 시리아 화학무기 문제 평가 및 협력 추진 필요성

   - (평가) ▲획득 과정에서 북한-시리아 간 긴밀한 협력 추정, ▲강대국 간 타협 및 국제사회 협력으로 시리아의 CWC 가입 성과 달성, ▲과거 사찰·검증에서의 한계로 불완전한 검증으로 귀결

   - (협력 필요성) ▲북한-시리아 기술 협력 네트워크를 규명하여 북한에 대한 추가 제재 및 외교적 압박 강화, ▲한반도 문제 관련 미국과의 공조 확대, ▲비확산 모범국으로서 국제사회의 WMD 확산 차단 노력에 기여


◎ 시리아 화학무기 문제와 관련하여 우리 정부의 대응 및 사전준비 필요

   - 시리아 화학무기 및 시리아-북한 커넥션 관련 정부의 정보분석·평가를 통해 사찰·검증 참여 등 종합적 대응방안 수립

   - WMD 확산 차단을 위한 국제기구 및 주요국 정책 활동에 동참

   - 시리아 정세 변화 관련 긴밀한 모니터링 및 범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

저자 소개

저자 사진
진의림 (JINEUILIM/陳義林)
  • 부서 : 안보전략연구센터(핵안보연구실)
  • 직급 : 연구원
  • 전문분야 : 대북 제재, 군축협약
일반게시판 화면 화면
다음자료 ▲ 트럼프 행정부 2기의 미북관계 전망과 과제
이전자료 ▼ 등록된 내용이 없습니다.